고사성어

타산지석(他山之石)

일일 일 배움 2025. 3. 16. 12:45
반응형

타산지석(他山之石)의 뜻

타산지석(他山之石)은 "다른 사람의 잘못이나 부족한 점도 자신의 수양과 발전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뜻입니다.
즉, 남의 실수나 경험을 반면교사 삼아 교훈을 얻는다는 의미입니다.

 

他(다를 타)  山(뫼 산)  之(어조사 지)  石(돌 석)


유래

이 고사성어는 《시경(詩經)》의 소아(小雅)·록명(鷺鳴) 편에서 유래되었습니다.

“他山之石,可以攻玉”
("다른 산의 돌이라도 옥을 가는 데 쓸 수 있다.")

 

이 문장은 원래 좋지 않은 돌이라도 옥을 다듬는 데 유용할 수 있듯이, 남의 부족한 점도 교훈으로 삼으면 자신의 덕을 닦는 데 도움이 된다는 의미입니다.

중국의 역사서인 《사기(史記)》에서도 이 표현이 사용되었으며, 후대로 전해지면서 타인의 실패나 잘못에서도 배울 점이 있다는 의미로 확장되었습니다.


타산지석의 활용 예

  1. 다른 사람의 실수를 교훈 삼을 때
    • "그 회사가 실패한 이유를 분석해 보면 우리가 배울 점도 많아. 타산지석으로 삼아야 해."
  2. 타인의 경험에서 배우는 자세를 강조할 때
    • "친구가 투자 실패한 걸 보고, 나도 무작정 투자하면 안 되겠다고 깨달았어. 타산지석이 되었지."
  3. 역사적 사건에서 교훈을 얻을 때
    • "역사 속에서 많은 나라가 내부 갈등으로 무너졌다. 우리도 타산지석으로 삼아야 한다."

비슷한 의미의 다른 고사성어

  • 반면교사(反面敎師) – 남의 잘못을 거울삼아 자신의 교훈으로 삼음.
  • 은감불원(殷鑑不遠) – 다른 사람의 실패 사례는 멀리 있지 않다는 뜻, 가까운 곳에서 교훈을 얻을 수 있음.
  • 거경득실(擧輕得失) – 작은 일에서 교훈을 얻어 큰일을 대비함.

타산지석남의 실수도 자신의 발전의 계기로 삼을 수 있다는 점에서 배움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고사성어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