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사성어

교언영색(巧言令色)

일일 일 배움 2025. 3. 19. 15:13
반응형

교언영색(巧言令色)의 뜻

"말을 교묘하게 하고 얼굴빛을 좋게 꾸민다"는 뜻으로, 남에게 아첨하거나 진실되지 않은 태도로 환심을 사려는 모습을 의미합니다. 주로 말과 행동이 진실되지 못한 사람을 비판하는 데 사용됩니다.

巧(교묘할 교)  言(말씀 언)  令(좋을 영/ 명령할 령)  色(빛 색)

 

교언영색(巧言令色)의 유래

 

이 표현은 《논어(論語)》의 학이편(學而篇) 에서 유래했습니다. 공자는 다음과 같이 말했습니다.

“巧言令色 鮮矣仁”
(교언영색 선의인)

즉, "말을 교묘하게 하고 얼굴빛을 좋게 꾸미는 사람 중에 어진 이는 드물다"는 뜻입니다. 공자는 말과 행동이 진실하지 못한 사람은 인(仁)을 갖추기 어렵다고 보았습니다.

 

교언영색의 활용 예시

  • 그는 교언영색으로 상사에게 잘 보이려 했지만, 동료들에게 신뢰를 얻지 못했다.
  • 교언영색에 능한 사람이 성공할 수도 있지만, 결국 진실한 사람이 더 오래 신뢰받는다.
  • 지도자는 교언영색하는 부하보다 진실한 조언을 해 주는 사람을 가까이해야 한다.

 

유사한 의미의 고사성어

  • 면종복배(面從腹背) : 겉으로는 순종하는 척하면서 속으로는 배반함
  • 양두구육(羊頭狗肉) : 겉은 훌륭해 보이지만 속은 변변치 않음
  • 구밀복검(口蜜腹劍) : 입으로는 달콤한 말을 하지만 속으로는 해칠 마음을 품음
  • 아첨굴신(阿諂屈身) : 남에게 아첨하고 몸을 낮춤

진실된 태도가 중요하다는 교훈을 주는 표현이니, 언행의 신뢰성을 항상 생각해 보면 좋겠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