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거양득(一擧兩得): 한 번의 행동으로 두 가지 이익을 얻다
우리는 종종 하나의 행동으로 여러 가지 이득을 얻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을 잘 표현하는 고사성어가 바로 "일거양득(一擧兩得)"입니다. 오늘은 이 말의 뜻과 유래, 활용법, 그리고 비슷한 의미의 고사성어와 속담을 알아보겠습니다.
일거양득의 뜻
"일거양득(一擧兩得)"은 "한 번 움직여 두 가지 이익을 얻는다"는 뜻입니다.
- 일(一): 하나
- 거(擧): 행동, 들어 올리다
- 양(兩): 둘
- 득(得): 얻다
즉, 한 가지 행동으로 두 가지 좋은 결과를 동시에 얻는 상황을 의미합니다.
일거양득의 유래
이 고사성어는 중국에서 유래된 표현으로, 특별한 일화에서 비롯된 것은 아니지만 예로부터 효율적이고 지혜로운 행동을 강조하는 문맥에서 자주 사용되었습니다.
예를 들어, 한 사람이 산에 나무를 하러 가면서 동시에 약초를 채집하는 경우처럼, 한 번의 노력이 두 가지 결실을 맺을 때 일거양득이라는 표현을 씁니다.
현대적으로 해석하면, 시간과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하여 여러 가지 이점을 동시에 얻는 전략적인 행동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일거양득의 활용
이제 일거양득을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까요?
예문 1
"주말에 등산도 하고 사진 촬영도 했어. 건강도 챙기고 취미도 즐기니 완전 일거양득이네!"
예문 2
"외국어 공부를 하면서 해외 친구도 사귀었어. 정말 일거양득이지!"
예문 3
"운동하면서 오디오북을 들으니까 몸도 건강해지고 지식도 쌓이고, 일거양득이야."
이처럼 한 가지 행동으로 두 가지 이상의 이익을 얻는 상황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비슷한 고사성어
- 일석이조(一石二鳥) - "한 개의 돌로 두 마리의 새를 잡는다"는 뜻으로, 한 가지 행동으로 두 가지 이익을 얻는 것을 의미.
- 일념쌍수(一念雙修) - "한 가지를 생각하면서 두 가지를 동시에 닦는다"는 뜻으로, 한 번의 노력으로 두 가지를 함께 이루는 것.
- 일수이조(一手二鳥) - "한 손으로 두 마리 새를 잡는다"는 뜻으로, 일석이조와 같은 의미.
비슷한 속담
- "도랑 치고 가재 잡는다" - 한 가지 일을 하면서 예상치 못한 이득을 얻는 경우.
- "누이 좋고 매부 좋다" - 서로에게 이익이 되는 상황.
- "마당 쓸고 돈 줍는다" - 원래 의도한 일 외에도 추가적인 이득을 보는 경우.
맺음말
"일거양득(一擧兩得)"은 한 번의 행동으로 두 가지 이익을 얻는다는 의미의 고사성어입니다.
현대 사회에서는 시간과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일거양득의 개념은 더욱 가치가 있습니다.
'고사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선입견(先入見) (0) | 2025.03.31 |
---|---|
호사다마(好事多魔) (1) | 2025.03.30 |
어부지리(漁父之利) (1) | 2025.03.30 |
천생연분(天生緣分) (1) | 2025.03.29 |
백년해로(百年偕老) (0) | 2025.03.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