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사자성어77

군신유의(君臣有義) 군신유의(君臣有義) – 임금과 신하 사이에는 의리가 있어야 한다고사성어 군신유의(君臣有義)는 전통 유교 사회에서 가장 중요하게 여겨진 ‘인간관계의 도리’를 상징하는 말 중 하나입니다. 이 표현은 단순히 임금과 신하의 관계만을 의미하지 않고, 상하 관계 속에서 서로를 존중하고 도리를 다해야 한다는 깊은 뜻을 담고 있습니다.뜻 풀이君(군): 임금臣(신): 신하有義(유의): 의리가 있어야 한다뜻: 임금과 신하는 서로 의리를 지켜야 하며, 그 관계는 도의(道義)를 바탕으로 성립되어야 한다는 뜻입니다. 통치자는 백성을 사랑하고 아끼는 도리를 지켜야 하며, 신하는 충성과 절의를 다해 임금을 섬겨야 한다는 유교적 가치관을 담고 있습니다.유래와 배경군신유의는 유교 사상의 핵심인 오륜(五倫) 중 하나에서 비롯된 개념입니.. 2025. 4. 27.
견리사의(見利思義) 견리사의(見利思義) – 이익을 보고 의리를 생각하다우리는 종종 눈앞에 있는 유혹적인 이익에 끌려 결정을 내리곤 합니다. 그러나 진정한 사람은 그런 유혹을 넘어서서, 그 이익이 의리와 도덕에 맞는지 먼저 생각합니다. 이러한 행동을 가리키는 고사성어가 바로 견리사의(見利思義)입니다.뜻 풀이見利(견리): 이익을 보다思義(사의): 의리를 생각하다뜻: 이익을 보고 그 이익을 취할지 말지를 판단할 때, 그 이익이 도덕적이고 의리에 맞는지 먼저 생각하라는 의미입니다. 즉, 눈앞의 유혹적인 이익이 오히려 자신의 도덕적 의무와 맞지 않으면 그 이익을 피해야 한다는 교훈을 담고 있습니다.유래견리사의는 맹자의 《맹자·이루상》에 나오는 구절에서 유래합니다. 맹자는 자신의 제자에게 이렇게 말했습니다. "이익을 보면 그것이 옳은.. 2025. 4. 27.
구밀복검(口蜜腹劍) 구밀복검(口蜜腹劍) – 말은 달콤하나 속엔 칼을 품다사람의 말은 때로는 꿀처럼 달콤하지만, 그 속마음은 전혀 다를 수 있습니다. 겉으론 웃으며 다정한 말을 건네지만, 속으로는 날카로운 칼을 숨기고 있는 경우도 많죠. 이런 이중적인 태도를 간결하게 표현한 고사성어가 바로 구밀복검(口蜜腹劍)입니다.뜻 풀이口蜜(구밀): 입에는 꿀이 있다, 말은 매우 달콤하다腹劍(복검): 배 속에 칼이 있다, 속은 흉악하고 해칠 마음이 있다뜻: 입으로는 달콤한 말을 하지만, 속으로는 해칠 마음을 품고 있는 것을 의미합니다. 즉, 겉과 속이 다른 위선자나 음흉한 사람을 경계할 때 사용하는 말입니다.유래이 말은 당나라 현종 때의 관리 이임보(李林甫)에서 유래했습니다. 그는 황제 앞에서는 언제나 온화한 말과 태도로 칭송을 받았지만,.. 2025. 4. 26.
등화가친(燈火可親) 등화가친(燈火可親) – 가을밤, 책과 벗하기 좋은 때가을이 되면 밤은 길어지고, 공기는 서늘하며, 마음은 자연스레 고요해집니다. 이럴 때면 사람들은 책상 앞에 앉아 독서에 몰입하거나, 담소를 나누며 정을 나누곤 하죠. 바로 이러한 분위기를 담아낸 고사성어가 등화가친(燈火可親)입니다.뜻 풀이燈火(등화): 등불可親(가친): 가까이하기 좋다, 친하게 느껴진다뜻: 등불을 가까이하기 좋다는 뜻으로, 가을이 되어 날씨가 선선해지고 밤이 길어져 독서하기 좋은 계절이 되었음을 비유적으로 표현한 말입니다.또한, 책을 가까이하고 학문을 닦기 좋은 때를 의미하기도 하며, 넓게는 사람들과 가까이 지내며 교류하기 좋은 분위기를 표현할 때도 사용됩니다.유래‘등화가친’이라는 말은 송나라 문인 유종원(柳宗元)의 시에서 유래한 것으로.. 2025. 4. 26.
등하불명(燈下不明) 등하불명(燈下不明) – 등불 아래가 어두운 이유는?사람은 때로 너무 가까운 것, 너무 익숙한 것을 잘 보지 못합니다. 멀리 있는 것은 잘 보면서도 정작 내 주변이나 자신에 대해서는 무관심하거나 무지할 때가 많지요. 이런 인간 심리를 날카롭게 꿰뚫은 고사성어가 바로 등하불명(燈下不明)입니다.뜻 풀이燈(등): 등불下(하): 아래不明(불명): 밝지 않다, 보이지 않는다뜻: 등불은 밝지만 그 아래는 오히려 어둡다는 의미로, 가까운 것일수록 오히려 잘 보지 못한다는 뜻입니다.비유적으로는 가까이 있는 사람이나 사물, 혹은 당연하다고 여기는 것에 대해 오히려 무관심하거나 잘 모른다는 의미로 쓰입니다.유래등하불명은 고대 중국의 전래된 지혜에서 비롯된 표현으로, 명확한 출전은 없지만 일상적 관찰에서 비롯된 고사성어입니다.. 2025. 4. 25.
독서삼도(讀書三到) 독서삼도(讀書三到) – 책을 제대로 읽는 세 가지 길공부를 잘하고 싶을 때, 단순히 책을 많이 읽는다고 해서 모두가 성과를 내는 것은 아닙니다. 진정한 독서란 단순한 독해가 아닌, 마음과 눈, 입이 하나 되어 읽는 것이라는 가르침이 있습니다. 이를 잘 보여주는 고사성어가 바로 '독서삼도(讀書三到)'입니다.뜻 풀이讀書(독서): 책을 읽는 것三(삼): 셋到(도): 이른다, 도달한다는 의미뜻: 책을 읽을 때는 눈으로 보고(目到), 입으로 읽고(口到), 마음으로 생각해야(心到) 비로소 온전히 이해할 수 있다는 뜻입니다.유래이 고사성어는 송나라의 유학자 주희(朱熹)가 남긴 말에서 유래합니다. 그는 독서의 중요성과 그 방법을 강조하면서, 책을 읽을 때 단순히 눈으로만 읽는 것이 아니라 마음과 입까지 동원해야 한다고.. 2025. 4. 2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