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고사성어

복지부동(伏地不動)

by 일일 일 배움 2025. 4. 9.
반응형

복지부동(伏地不動): 몸을 낮추고 움직이지 않음

현대 사회에서는 적극적인 행동보다는 소극적으로 움직이지 않는 태도를 보이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런 태도를 잘 나타내는 고사성어가 바로 '복지부동(伏地不動)'입니다. 오늘은 이 말의 뜻과 유래, 활용법, 그리고 비슷한 의미를 가진 고사성어와 속담을 살펴보겠습니다.

복지부동의 뜻

'복지부동(伏地不動)'은 다음과 같은 의미를 갖고 있습니다.

  • 복(伏): 엎드리다, 몸을 낮추다.
  • 지(地): 땅.
  • 부(不): 아니다, 하지 않는다.
  • 동(動): 움직이다.

즉, "땅에 엎드려 전혀 움직이지 않는다"는 뜻으로, 아무런 행동도 하지 않고 가만히 있는 소극적인 태도를 의미합니다. 특히 책임을 회피하고 변화를 두려워하는 관료주의적인 태도를 비판할 때 자주 사용됩니다.


복지부동의 유래

복지부동이라는 말은 중국의 역사 속에서 유래된 말은 아니지만, 후대에 생겨난 한자어 표현으로 사용되었습니다.

이 말은 주로 관료나 공직자들이 책임을 지지 않으려고 하거나, 불이익을 당할까 봐 소극적으로 행동하는 모습을 빗대어 표현합니다. 예를 들어, 정부 관료들이 적극적으로 개혁을 추진하지 않고, 그저 자리를 보전하기 위해 움직이지 않는다면 "복지부동의 태도를 보인다"고 할 수 있습니다.


복지부동의 활용

이 고사성어는 책임을 회피하고 소극적으로 행동하는 상황을 비판할 때 주로 사용됩니다.

 

예문 1
"이 문제를 해결하려면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한데, 공무원들은 여전히 복지부동이다."

예문 2
"회사가 위기에 처했지만, 경영진은 복지부동의 자세로 아무런 대책도 내놓지 않았다."

예문 3
"변화를 두려워하고 복지부동하는 태도로는 절대 발전할 수 없다."

 

이처럼 주로 부정적인 의미로 사용되며, 적극적인 행동을 촉구할 때 함께 언급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비슷한 고사성어

  1. 좌고우면(左顧右眄) - 왼쪽을 보고, 오른쪽을 살핀다는 뜻으로, 결정을 내리지 못하고 망설이는 태도를 의미.
  2. 우유부단(優柔不斷) - 결단력이 부족하고 망설이기만 하는 태도.
  3. 기회주의(機會主義) - 상황에 따라 이익만을 좇아 움직이고, 책임을 지지 않으려는 태도.

비슷한 속담

  1. "물이 너무 맑으면 고기가 없다" - 지나치게 조심하고 행동하지 않으면 얻는 것이 없다는 뜻.
  2. "구르는 돌에는 이끼가 끼지 않는다" - 계속 움직이는 사람이 발전할 수 있음을 의미.

맺음말

'복지부동(伏地不動)'은 소극적이고 책임을 회피하는 태도를 비판하는 말로, 현대 사회에서도 자주 사용됩니다. 특히 공직자나 관료 조직에서 변화를 두려워하고 무사안일한 태도를 보일 때 이를 비판하는 의미로 쓰입니다.

반응형

'고사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독서백편의자현(讀書百遍義自見)  (0) 2025.04.09
맹왈취의(孟曰取義)  (0) 2025.04.09
노파심(老婆心)  (3) 2025.04.08
양두구육(羊頭狗肉)  (1) 2025.04.08
공명정대(公明正大)  (1) 2025.04.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