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깨비 기왓장 뒤지듯 한다 – 성의 없이 대충 찾는 태도
우리는 무언가를 찾을 때 꼼꼼하게 살펴보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대충 보고 찾지 못했다고 포기하는 사람도 있습니다. 한국 속담 “도깨비 기왓장 뒤지듯 한다”는 바로 이런 상황을 표현하는 말입니다.

1. 속담의 뜻
이 속담은 어떤 것을 찾거나 조사할 때 성의 없이 건성으로 하거나 대충 하는 모습을 의미합니다. 도깨비가 기왓장을 찾을 때 제대로 뒤지는 것이 아니라 마치 어딘가에 대충 발을 툭툭 디뎌보듯 건성으로 찾는 모습을 상상해볼 수 있습니다. 즉, 꼼꼼하지 않고 대충 흝어보는 태도를 경계하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2. 비슷한 한국 속담
이 속담과 유사한 의미를 가진 한국 속담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 개 밥에 도토리 줍듯 한다
→ 개는 도토리를 먹지 않기 때문에, 개 밥그릇에 도토리가 들어 있어도 그냥 건성으로 툭툭 건드리며 지나쳐 버린다는 의미입니다. - 수박 겉 핥기
→ 어떤 일을 깊이 있게 파고들지 않고, 겉만 대충 보고 지나가는 태도를 의미합니다. - 눈 가리고 아웅한다
→ 문제가 해결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대충 넘어가려는 태도를 의미합니다.
3. 비슷한 영어 속담
이 속담과 비슷한 의미를 가진 영어 속담도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 Looking for a needle in a haystack.
→ "건초 더미에서 바늘 찾기"라는 뜻으로, 제대로 찾으려 하지 않으면 발견하기 어렵다는 의미를 내포합니다. - Doing something half-heartedly.
→ "마음이 반쯤만 담긴 상태로 일을 한다"는 의미로, 성의 없이 대충 하는 태도를 의미합니다. - Skimming the surface.
→ "표면만 훑고 지나간다"는 뜻으로, 어떤 것을 깊이 파고들지 않고 대충 보는 태도를 의미합니다.
4. 활용 예시
이 속담은 실생활에서 여러 상황에서 활용될 수 있습니다.
(1) 학생들의 공부 태도에서
어떤 학생이 시험 공부를 해야 하지만 책을 대충 훑어보고 금방 덮어버린다면, "그렇게 도깨비 기왓장 뒤지듯 하면 시험 점수가 잘 나올 리가 없지."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2) 직장에서의 활용
회사에서 보고서를 작성해야 하는데, 자료를 제대로 조사하지 않고 대충 요약해서 보고하면 상사가 "이렇게 도깨비 기왓장 뒤지듯 하면 제대로 된 보고서가 나올 리가 없잖아."라고 지적할 수 있습니다.
(3) 집안일에서의 활용
청소를 해야 하는데 눈에 보이는 부분만 대충 닦고 넘어가는 모습을 본다면 "그렇게 도깨비 기왓장 뒤지듯 하면 먼지가 다 남아 있지."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5. 마무리
이 속담은 어떤 일을 할 때 성의 없이 대충 하면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없음을 경고하는 말입니다. 우리가 어떤 일을 하든지 꼼꼼하게 살펴보고 집중하는 태도가 중요합니다.
다음부터는 "도깨비 기왓장 뒤지듯 하지 말고, 제대로 찾아보자!"라는 마음가짐을 가져보는 건 어떨까요?
'속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될성부른 나무는 떡잎부터 알아본다 (1) | 2025.03.25 |
---|---|
가는 토끼 잡으려다 잡은 토끼 놓친다 (1) | 2025.03.25 |
달도 차면 기운다 (1) | 2025.03.24 |
바늘구멍으로 황소바람 들어온다 (3) | 2025.03.24 |
개구리 올챙이 적 생각 못한다 (1) | 2025.03.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