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어리석음5

방귀 뀐 놈이 성낸다 잘못을 저지른 사람이 오히려 더 큰소리치거나 화를 낸다는 뜻의 말입니다.속담의 의미이 속담은 자기가 잘못해 놓고도 오히려 남을 탓하거나 성을 내는 경우에 사용됩니다.잘못의 책임을 회피하려 하거나, 들킬까봐 괜히 큰소리를 치는 얄팍한 행동을 풍자한 표현이죠.예를 들어 방귀를 뀐 사람이 당황해서 “누가 방귀 꼈어!” 하고 먼저 화를 내면오히려 사람들이 “아, 저 사람이 범인이구나” 하고 눈치채게 되는 것처럼,자기 죄를 감추려다 더 드러내는 어리석음을 말합니다.비슷한 속담도둑이 제 발 저린다죄 지은 자는 발뻗고 못 잔다그림자도 밟히기 싫다영어 속담“The pot calls the kettle black.”→ 제 흉은 못 보고 남의 흉만 보는 이중적인 태도.“He who excuses himself, accus.. 2025. 4. 27.
못 먹는 감 찔러나 본다 자기가 갖지 못할 바에는 차라리 망가뜨리거나 방해하려는 심리를 표현한 말입니다.속담의 의미이 속담은 남이 잘되거나 좋은 것을 가졌을 때,그것을 부러워하거나 질투해서 괜히 훼방을 놓는 행동을 빗대어 표현한 것입니다.즉, 자신이 가질 수 없다는 이유로 그 가치조차 깎아내리려는 못난 마음을 꼬집는 속담이죠.“감”은 달콤하고 맛있는 과일이지만, 먹을 수 없게 되자 괜히 찔러본다는 건그 감을 가진 사람에게 피해를 주거나, 자기 마음을 스스로 삐뚤게 푸는 심리입니다.비슷한 속담사촌이 땅을 사면 배가 아프다내 것 아니면 부셔버린다남 잘되는 꼴 못 본다영어 속담“If I can’t have it, no one can.”→ 내가 못 가지면 아무도 못 가져야 한다는 식의 이기적 사고를 표현“Sour grapes.”→ 이 .. 2025. 4. 27.
낫 놓고 기역자도 모른다 "낫 놓고 기역자도 모른다" – 경험 부족이나 학식이 부족하여 기본적인 것도 모른다 ‘낫 놓고 기역자도 모른다’는 속담은 기본적인 것조차 알지 못하거나 이해하지 못하는 상황을 비유적으로 표현한 말입니다. 이 속담에서 '낫'은 농업에서 사용하는 도구로, 실제로 그 모양이 ‘기역자(ㄱ)’와 매우 비슷합니다. 그런데 '낫'을 보고도 그 모양을 알아보지 못한다는 것은 기본적인 상식이나 경험이 부족하여, 쉽게 알아볼 수 있는 것조차 모르는 어리석음을 의미합니다.이 속담은 보통 어떤 일이든 경험이나 학식이 부족하여 기본적인 것들을 제대로 이해하거나 인식하지 못하는 사람을 비판할 때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직장에서 아무리 작은 실수라도 반복하면서 기본적인 업무조차 이해하지 못하는 경우나, 사회적인 상식이 부족한 사.. 2025. 4. 20.
생일에 잘 먹으려고 이레를 굶을까? “생일에 잘 먹으려고 이레(7일)를 굶을까?” – 현재를 소홀히 하지 말고 미래를 대비하라 ‘생일에 잘 먹으려고 이레 굶을까?’는 앞날을 위해 현재의 삶을 불필요하게 고통스럽게 만드는 어리석은 태도를 비판하는 속담입니다. 생일이라는 특별한 날을 맞이하기 위해 7일 동안 굶겠다는 생각은 일상적인 삶에서 중요한 것들을 희생하며, 잘못된 방향으로 준비하는 모습을 풍자적으로 나타냅니다. 이 속담은 현재의 일이나 상황을 무시하고, 지나치게 먼 미래나 비현실적인 기대에 집중하는 것의 위험성을 경고합니다.속담의 의미이 속담에서 ‘이레 굶는다’는 말은 현재를 지나치게 희생하는 태도를 상징합니다. 7일 동안 굶고 그 끝에 생일에 잘 먹겠다고 계획하는 것은 당장의 중요한 일을 미루고, 미래에 다가올 일을 과도하게 준비하는.. 2025. 4. 18.
서울 가서 김서방 찾기 서울 가서 김서방 찾기 – 막연하고 어리석은 시도"서울 가서 김서방 찾기"라는 속담은 일의 실마리나 방법도 없이 무턱대고 덤비는 어리석은 행동을 풍자하는 표현입니다. 이 속담에서 ‘김서방’은 흔한 성씨인 ‘김’을 가진 사람을 뜻하며, 서울이라는 대도시에서 김씨 성을 가진 사람을 아무 단서 없이 찾는 것은 마치 바늘을 낙타에게 꿰우려는 것과도 같은 일이라는 비유입니다.속담의 의미이 속담은 막연하고 구체적인 정보나 계획 없이 어떤 일을 하려는 어리석음을 비판할 때 사용됩니다. 결과가 좋을 가능성도 희박하고, 시간과 노력을 낭비할 수 있는 상황을 풍자적으로 표현하죠. 이 말은 또한, 무계획적인 행동의 비효율성을 경고하기도 합니다.비슷한 우리 속담바다에서 바늘 찾기광대한 바다 속에서 작은 바늘 하나를 찾는 일처.. 2025. 4. 1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