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고사성어

착벽인광(鑿壁引光)

by 일일 일 배움 2025. 4. 19.
반응형

착벽인광(鑿壁引光) : 어둠 속에서도 배움을 포기하지 않다

‘착벽인광(鑿壁引光)’은 어려운 환경 속에서도 배움에 대한 열정을 포기하지 않고 끝까지 학문에 정진하는 자세를 뜻하는 고사성어입니다. 어두운 방 안에서도 책을 읽기 위해 벽에 구멍을 뚫어 빛을 끌어들인다는 뜻으로, 학문에 대한 집념과 성실함을 상징하는 말입니다.


뜻 풀이

  • 착(鑿): 뚫을 착
  • 벽(壁): 벽 벽
  • 인(引): 끌 인
  • 광(光): 빛 광

즉, ‘벽을 뚫어 빛을 끌어들인다’는 의미로, 열악한 환경에서도 배우고자 하는 강한 의지를 표현합니다.


유래

이 고사성어는 중국 진(晉)나라의 차윤(車胤)이라는 인물에게서 유래합니다. 차윤은 가난하여 집에 등불조차 켤 수 없었지만, 학문에 대한 열망이 매우 컸습니다.

어느 날 그는 옆집의 불빛이 희미하게 새어 나오는 것을 보고, 벽에 작은 구멍을 뚫어 그 빛으로 책을 읽기 시작했습니다. 이 일화를 두고 “착벽인광(鑿壁引光)”이라는 말이 생겨났습니다.

또한 비슷한 인물로 ‘형광석우(螢光織紝)’의 주인공 손강(孫康)도 있습니다. 그는 여름에는 반딧불이를 모아 그 빛으로 공부했고, 겨울에는 눈을 창가에 쌓아 반사광으로 독서를 했다고 전해집니다.


활용 예시

  • 어려운 환경에서도 포기하지 않고 열심히 공부하는 학생을 칭찬할 때
  • 열정과 집념으로 스스로를 성장시키는 사람에게
  • 교육이나 자기계발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문장이나 강연에서 인용

예문
“비록 여건은 열악했지만 그는 착벽인광의 자세로 학업에 매진했다.”


비슷한 의미의 고사성어와 속담

고사성어

  • 형창설안(螢窓雪案): 반딧불이와 눈빛으로 공부했다는 뜻. 착벽인광과 같은 맥락에서 쓰이며, 학문에 대한 열의를 상징
  • 마부위침(磨斧爲針): 도끼를 갈아서 바늘을 만든다는 뜻으로, 인내와 꾸준함의 중요성을 강조
  • 우공이산(愚公移山): 어리석은 이도 끊임없이 노력하면 큰 일을 이룰 수 있다는 의미

속담

  • 공부에 왕도는 없다
  • 될성부른 나무는 떡잎부터 다르다: 어릴 때부터 배움에 열심인 사람은 장차 크게 될 가능성이 크다는 뜻
  • 구슬이 서 말이라도 꿰어야 보배다: 아무리 좋은 재능도 노력 없이는 빛을 보지 못한다는 의미

마무리

‘착벽인광’은 단순한 배움의 자세를 넘어, 불리한 환경 속에서도 포기하지 않는 집념과 자기계발의 중요성을 일깨워 주는 고사성어입니다. 공부나 자기 계발이 힘들게 느껴질 때, 이 말처럼 꿋꿋이 벽을 뚫고 빛을 끌어들일 수 있는 열정을 마음에 새겨보는 것은 어떨까요?

지금 당신이 있는 곳이 아무리 어둡더라도, 배움의 빛을 향한 당신의 마음이 있다면 그곳이 곧 밝은 공부방이 될 수 있습니다.

 
 
 
반응형

'고사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천벽력(靑天霹靂)  (0) 2025.04.20
풍전등화(風前燈火)  (0) 2025.04.20
읍참마속(泣斬馬謖)  (1) 2025.04.19
유유상종(類類相從)  (0) 2025.04.19
정저지와(井底之蛙)  (1) 2025.04.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