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개과천선(改過遷善)의 뜻
'지난날의 잘못을 고치고 착하게 변한다’ 는 뜻으로, 잘못을 뉘우치고 올바르게 살아가려는 태도를 의미합니다.
改(고칠 개) 過(지날 과) 遷(옮길 천) 善(착할 선)
개과천선의 유래
[사기(史記)]의 '순리열전(循吏列傳)' 에 나오는 표현에서 유래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한나라 때 '순리(循吏)'라고 불리는 청렴하고 공정한 관리들이 있었는데, 이들은 백성을 위해 정치를 베풀며 선한 길로 인도했습니다. 당시 많은 사람들이 과거의 잘못을 뉘우치고 바른 삶을 살기로 결심했으며, 이를 표현하는 말로 '개과천선' 이라는 사자성어가 사용되었습니다.
또한, '서경(書經)' 에도 "지금이라도 잘못을 고치면 선(善)으로 나아갈 수 있다" 는 뜻의 구절이 있어, 개과천선의 정신이 예부터 강조되어 왔습니다.
개과천선의 활용 예시
"그는 한때 방황했지만, 개과천선하여 모범 시민이 되었다."
"늦었다고 생각할 때가 가장 빠른 법이다. 지금이라도 개과천선하면 된다."
이처럼 잘못을 인정하고 바르게 변화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교훈을 담고 있습니다.
비슷한 의미의 다른 고사성어
● 쇄신거악(刷新去惡) – 잘못된 점을 고치고 악한 것을 제거하여 새롭게 함.
● 자강불식(自强不息) – 스스로 끊임없이 노력하여 잘못을 고치고 발전함.
● 회과자신(悔過自新) – 자신의 잘못을 뉘우치고 스스로 새사람이 됨.
이 사자성어들은 잘못을 고치고 올바른 길로 나아가는 의미에서 개과천선과 유사합니다
반응형
'고사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군신유의(君臣有義) (0) | 2025.04.27 |
---|---|
견리사의(見利思義) (0) | 2025.04.27 |
등하불명(燈下不明) (0) | 2025.04.25 |
동가홍상(同價紅裳) (0) | 2025.04.24 |
고장난명(孤掌難鳴) (0) | 2025.04.22 |